Hello, World!
세상과 소통하는 개발자의 이야기
Design. 수민 / cc. 경희

Reac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(예: Redux, Recoil, Zustand) 장단점 비교

2025-09-10

Redux, Recoil, Zustand - 세 가지 대표적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의 특징

1. 왜 상태관리 라이브러리가 필요할까?

React는 컴포넌트의 상태(state)를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, 규모가 커지거나 여러 컴포넌트 간 상태를 공유해야 할 때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가 필요합니다.

  • 전역 상태 관리
  • 복잡한 데이터 흐름 제어
  • 여러 컴포넌트 간 데이터 동기화 등을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2. 주요 라이브러리 소개

2.1. Redux

  • 가장 오래되고 널리 쓰이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
  • Flux 패턴 기반, 단방향 데이터 흐름
  • 미들웨어(Redux Thunk, Saga 등)로 비동기 로직 관리
  • Redux Toolkit으로 최근에는 코드가 많이 간소화됨

2.2. Recoil

  • 페이스북에서 개발, React 전용 상태관리 라이브러리
  • 원자(atom)와 셀렉터(selector) 개념으로 상태를 세분화
  • 간편한 전역 상태 관리와 파생 상태(derived state) 처리
  • React Suspense, Concurrent Mode와 자연스럽게 연동

2.3. Zustand

  • 매우 간단하고 가벼운 상태관리 라이브러리
  • 훅(Hook) 기반 API, 최소한의 코드로 전역 상태 관리
  • Immer 내장으로 불변성 관리가 쉬움
  • 미들웨어, 비동기 관리도 손쉽게 확장 가능

3. 장단점 비교

라이브러리장점단점
Redux- 커뮤니티/문서 풍부
  • 예측 가능한 단방향 데이터 흐름
  • 미들웨어로 비동기, 로깅 등 확장성 높음
  • 대규모 프로젝트에 검증 | - 러닝커브 있음
  • 보일러플레이트(반복 코드)가 많음(기존)
  • 작은 프로젝트에 과할 수 있음 | | Recoil | - React 친화적(React 전용)
  • 원자/셀렉터로 상태 분리와 파생데이터 처리 용이
  • 코드가 간결, 직관적
  • Suspense 등과 연동 쉬움 | - 아직 비교적 신생(성숙도/커뮤니티는 Redux보다 작음)
  • 대규모 실전 예제는 적음
  • React 이외 프레임워크와 연동 불가 | | Zustand | - 매우 가볍고 사용법 직관적
  • 훅만으로 전역 상태 관리
  • 최소한의 코드와 빠른 러닝커브
  • 불변성 자동 처리 | - 매우 대규모/복잡한 상태엔 한계
  • 커뮤니티가 상대적으로 작음
  • 공식 미들웨어는 Redux만큼 다양하지 않음 |

4. 언제 어떤 라이브러리를 선택할까?

  • Redux

    • 대규모 서비스, 복잡한 상태와 비동기 플로우, 협업이 많을 때
    • 이미 도입되어 있거나, 미들웨어 확장이 중요한 경우
  • Recoil

    • React 프로젝트만 고려, 파생 상태 관리가 중요한 경우
    • Suspense 등 React 최신 기능과 연계 필요 시
  • Zustand

    • 빠른 개발, 소규모·중소규모 프로젝트, 러닝커브가 낮은 상태관리 필요할 때
    • 최소한의 설정과 코드로 전역 상태를 쓰고 싶을 때

5. 마무리

상태관리 라이브러리는 프로젝트 상황과 팀의 선호, 필요한 기능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각 라이브러리의 최신 동향도 함께 참고하세요!